You are using an outdated browser. Please upgrade your browser to improve your experience and security.

Skip to content

AADC 결핍증의 징후와 증상 알아보기

AADC 결핍증 진단을 받은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고되었습니다1:

근긴장 저하(Hypotonia)1

  • 가장 흔히 보고되는 증상
Hyptonia reported in AADC deficiency patients
근긴장 저하
(Hypotonia)
n=74

발달 지연(Developmental delay)1

  • AADC 결핍증에서는 머리 가누기, 기거나 일어서기 지연, 말하기 지연 등의 발달 지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3
Developmental delay reported in AADC deficiency patients
발달 지연
(Developmental delay)
n=49

운동 장애(Movement disorders)

안구운동 발작(Oculogyric crisis)1

  • 지속적으로 안구가 위쪽이나 옆으로 향하는 편위 현상, 주기적인 구강 안면 경련, 목의 후면 및 측면 굽힘, 혀 내밀기, 턱 경련4
  • 수 초 동안 지속되거나 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일주일 동안 여러 번 발생할 수 있습니다.5
  • 어떤 사례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1
  • 발작, 뇌전증, 뇌성마비 또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5,6

안구운동 발작
(Oculogyric crisis)
n=67

AADC 결핍증 아동의 간병인과 부모는안구운동 발작(Oculogyric crisis)”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설명할 때 이들은 자녀를 관찰하면서 겪은 다음과 비슷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4:

  • 안구가 뒤로 돌아감
  • 머리, 목 혹은 등을 과도하게 젖히기
  • 혀 내밀기
  • 무의식적으로 근육이 경직되거나 비틀리는 모습

안구운동 발작(OGC)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발작(Seizure)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5,6

안구운동 발작 증상 보기

기타 운동 장애 및 관련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1:

  • 근육긴장이상증(Dystonia) 53% (n=41)
  • 과다근육긴장증(Hypertonia) 44% (n=35)
  • 운동감소증(Hypokinesia) 32% (n=25)

자율신경 관련 증상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1:

  • 다한증(Hyperhidrosis) 65% (n=51)
  • 과다침분비(Hypersalivation) 41% (n=32)
  • 안검하수(Ptosis) 39% (n=30)
  • 비 충혈(Nasal congestion) 31% (n=24)

“이런 증상이 관찰된다면 AADC 결핍증 진단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AADC 결핍증에 대한 검사가 필요한 증상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증상 가이드 다운로드

참고 문헌: 1. Brun L, Ngu LH, Keng WT, et al.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Neurology. 2010;75(1):64-71. 2. Wassenberg T, Molero-Luis M, Jeltsch K, et al. Consensus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ADC) deficiency. Orphanet J Rare Dis. 2017;12(1):12. doi: 10.1186/s13023-016-0522-z. 3. Hwu W-L, Chien Y-H, Lee N-C, et al. Natural history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in Taiwan. JIMD Rep. 2018;40:1-6. doi: 10.1007/8904_2017_54. 4. Hwu W-L,
Lee N-C, Chien Y-H, et al. AADC deficiency: occurring in humans, modeled in rodents. Adv Pharmacol. 2013;68:273-284. 5. Pons R, Ford B, Chiriboga CA, et al.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prognosis. Neurology. 2004;62(7):1058-1065. 6. Lee W-T. Disorders of monoamine metabolism: inherited disorders frequently misdiagnosed as epilepsy. Epilepsy Seizure. 2010;3(1):147-153. doi: 10.3805/eands.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