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using an outdated browser. Please upgrade your browser to improve your experience and security.

Skip to content

AADC 결핍증 환자 예시

검토할 환자 프로필을 선택하세요.

생후 6일

증상 발현

  • 체온 불안정(저체온증) 및 수유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생후 2개월

추가적인 증상으로 소아과 내원

  • 소음이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과도하게 놀라는 등의 과민반응을 기록함.
생후 3개월

안구운동 발작(OGC)을 보이기 시작

  • 안구운동 발작 은 대개 늦은 오후나 저녁에 발생하며, 이후 2개월 동안 빈도와 심각도가 증가함.
생후 5개월

소아신경과 전문의에 의해 대증요법 시행

  • 소아신경과 전문의에게 의뢰되어 진찰한 결과,
    • 축성 근긴장 저하
    • 우측 두부 편위
    • 엎드린 자세에서 물체에 손을 뻗거나 몸을 뒤척이거나 고개를 들 수 없음
    • 안검하수, 동공수축, 비 충혈 및 침 흘림
  • 그 후 소아 신경과 전문의는 클로나제팜을 투약했지만 안구운동 발작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음.
  • 물리 치료사가 치료 팀에 합류.
진단
생후 5개월

MRI 정상 소견 확인 후, 추가 검사

  • 영상검사: 뇌 MRI – 정상
  • 검사실 결과1:
    • 대사질환 스크리닝: 정상
    • 혈장 AADC 활성: 검출되지 않음
  • CSF 신경전달물질 대사체 검사:
    Metabolites Results
    3-OMD 1439 nmol/L High
    5-HIAA 9 nmol/L Low
    HVA 14 nmol/L Low
    Pterins Normal Normal
  • AADC 결핍증 진단
3-OMD=3-O-methyldopa;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 CSF=cerebrospinal fluid; HVA=homovanillic acid;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생후 3개월

출생시부터 나타난 징후들

  • 출생 직후부터 수유 장애
  • 근긴장 저하
생후 6개월

뇌성마비로 오진

  • 안구운동 발작을 경험하기 시작하여 소아신경과 전문의에게 의뢰.
  • 소아신경과 전문의가 뇌성마비로 진단.
경과 시간: 1년 6개월
2세

자율 기능 장애의 징후 발생

  • 자율 기능 장애의 징후에는 불안정한 체온 및 저혈압 포함.
경과 시간: 2년
4세

발달 이정표를 달성하지 못함

  • 달성하지 못한 항목은 다음과 같음:
    • 부적절한 운동 발달
    •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
  • 환자가 운동 저하 증상을 보이기 시작함
경과 시간: 2년
6세~10세

소아재활 전문의에게 의뢰

  • 이 기간 동안의 징후와 증상:
    • 머리 가누기를 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됨.
    • 수유 및 삼키기 어려움
    • 심한 불면증
    • 언어 구사 안 됨
시간 경과: 3년
13세

안구운동 발작 악화

  • 빈도 및 지속 시간 증가
시간 경과: 4년
17세

새로운 신경과 전문의의 평가

  • 이사 후, 새로운 신경과 전문의가 평가한 결과 AADC 결핍증 진단을 고려
진단
나이 17세

실험실 검사 결과로 AADC결핍증 진단

  • 검사실 결과1,2:
    • 대사질환 스크리닝: 정상
    • 혈장 AADC 활성: 검출되지 않음
  • CSF 신경전달물질 대사체 검사:
    Metabolites Results
    3-OMD 539 nmol/L High
    5-HIAA 24 nmol/L Low
    HVA 50 nmol/L Low
    Pterins Normal Normal
3-OMD=3-O-methyldopa;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 CSF=cerebrospinal fluid; HVA=homovanillic acid.

생후 4개월

근긴장 저하, 자발운동 및 기타 증상들 기록

  • 다음의 징후와 증상 포함:
    • 근긴장 저하
    • 자발운동 거의 없음
    • 과민성
    • 체중 감소
생후 6~12개월

소아신경과 전문의의 항경련제 처방

  • 뇌전증발작과 유사한 증상으로 여러 번 병원에 입원하고 마침내 소아 신경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음.
  • 소아신경과 전문의:
    • EEG 검사 결과 정상
    • 항경련제 치료
  • 이 후 발달 전문의에게 의뢰되고, 대사검사 시행한 결과 정상 소견.
생후 14개월

뇌전증 발작을 근긴장이상운동증으로 재분류

  • 새로운 소아신경과 전문의가 병력을 검토, 진찰한 후 다음과 같이 기록:
    • 발달 지연
    • 도움 없이 앉거나 물체를 잡을 수 없음
    • 사지 과긴장 및 심부건반사 항진
    • 연하곤란, 반복되는 구토와 변비
    • 과다침분비, 다한증
    • 수면 장애
  • 다음 단계:
    • 영상 검사 처방:
      • 뇌 MRI – 정상
      • 뇌파검사 – 정상 (반복 측정)
    • 이전의 뇌전증 연축을 근긴장이상으로 재분류.
    • 운동질환 전문의에게 의뢰
    • 환자를 위한 치료지원팀 개발:
      • 소화기전문의
      • 물리치료사
      • 작업치료사
시간 경과: 10 개월
2세

신경전달물질 장애에 대한 평가

  •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고려하여 신경전달물질 장애에 대한 평가 시행.
진단
만 2세

CSF 신경전달물질 대사체 패널 및 혈장 효소 활성도 분석

  • 검사실 결과:3:
    • 혈장 AADC 활성: 낮음
  • CSF 신경전달물질 대사체 검사3:
    Metabolites Results
    3-OMD 961 nmol/L High
    L-dopa 157 nmol/L High
    5-HTP 67 nmol/L High
    5-HIAA 10 nmol/L Low
    HVA 26 nmol/L Low
    Pterins Normal Normal
3-OMD=3-O-methyldopa;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 5-HTP=5-hydroxytryptophan; EEG=electroencephalogram; HVA=homovanillic acid;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AADC 결핍증이 의심될 때 혈중 3-OMD 검사를 하는 이유

키스 하일랜드(Keith Hyland) 박사가 3-OMD는 무엇이며 AADC 결핍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3-OMD 검사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생후 3개월

일반 소아과 진료

  • 소아과 검사에서 환자의 근긴장이 저하되고 고개를 들 수 없다고 기록 됨.
생후 5개월

심각한 안구운동 발작이 시작되어 뇌성마비 진단 고려

  •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안구운동 발작으로 소아신경과 전문의에게 의뢰되었고, 소아신경과 전문의는 중증 뇌성마비 진단을 고려
생후 9~13개월

발달 이정표를 달성하지 못하자 새로운 소아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감

  • 환자는 발달 이정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활동량이 적었으며, 심한 불면증을 경험하여 다른 소아신경과 전문의에게 의뢰 됨.
  • 새로운 소아신경과 전문의:
    • 뇌 MRI 처방
      • 영상검사: 뇌 MRI – 정상
    • 치료지원팀에 소아발달전문의 추가 영입
생후 14개월

유전자 검사를 위해 전문 센터로 의뢰

  •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확실한 진단이 나오지 않자 유전자 검사를 위해 전문 센터로 환자를 의뢰.
진단
생후 15개월

유전자 검사를 통해 AADC 결핍증 진단

  • 유전자 검사:
    • DDC 유전자의 돌연변이
  • 실험실 결과1,4:
    • 혈장 AADC 활성: 검출되지 않음
DDC=dopa decarboxylase;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AADC 결핍증의 대표적인 오진에는 어떤 질환이 있나요?

키스 하일랜드(Keith Hyland) 박사가 AADC 결핍증을 흔히 잘못 진단하는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 의료진이 AADC 결핍증을 감별하기 위해 살펴봐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합니다.

참고 문헌: 1. Swoboda KJ, Hyland K, Goldstein DS, et al. Clinical and therapeutic observations in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Neurology. 1999;53(6):1205-1211. 2. Anselm IA, Darras BT. Catecholamine toxicity in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Pediatr Neurol. 2006;35(2):142-144.3. Gücüyener K, Kasapkara CS, Tümer L, et al.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deficiency: a new case from Turkey with a novel mutation. Ann Indian Acad Neurol. 2014;17(2):234-236. 4. Wassenberg T, Molero-Luis M, Jeltsch K, et al. Consensus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ADC) deficiency. Orphanet J Rare Dis. 2017;12(1):12. doi: 10.1186/s13023-016-0522-z.